슬로우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 애그플레이션 개념 파헤쳐서 부자 되는 방법

안녕하세요. "행복한스푼"블로그의 "야옹아 놀자"입니다.

오늘은 스태그플레이션, 슬로우플레이션, 애그플레이션에 대한 개념 공부와 이를 이용한 투자 방법에 대해 함께 공부해보려 합니다.

슬로우플레이션 : Slowflation 성장 둔화된 상황에서 물가는 지속 상승하는 현상

슬로우플레이션이란 Slow+inflation=성장 둔화된 상황에서 물가 상승된다는 의미입니다. 

그럼 이런 상황에서 경제의 흐름은 어떻게 흘러가는지 살펴보죠.

1. 경기침체, 물가 상승

2. 원자재 물가 상승으로 기업에서 생산한 제품 가격 인상

3. 경기침체로 소비자의 가계부채 증가/소득감소로 소비심리 위축

4. 기업의 수익성 저하 및 재고 과다로 출혈 경쟁 심화

5. 도산 기업 증가 및 기업 투자 감소

6. 투자 감소로 인한 고용시장 악화 → 소비자 소득감소/부채 증가

 

네 그렇습니다. 상기와 같은 사이클이 지속되면 장기 침체로 들어서게 됩니다.

이렇게 장기침체가 되면 다음에 설명할 스태그플레이션 상태가 됩니다.

picture

스태그플레이션 : Stagflation 저조한 성장이 지속되며 물가는 상승하는 현상. 슬로우플레이션이 장기화되면 발생

스태크플레이션이란 장기 침체된 상황에서 물가가 상승(화폐가치 하락)하는 현상입니다.

1970년~1980년에 여러 세계정세 불안정 속에서 스태그플레이션이 심화된 경험이 있죠.

오일 쇼크로 원유 가격이 급등하여 물가가 피크를 치게 되었고, 심각한 세계 경제위기를 겪었죠.

생산 공장을 돌리기 위해서는 유가가 상당히 중요합니다.

현재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WTI 원유 가격이 급상승 중입니다.

그래서 많은 전문가들이 향후 스태그플레이션과 맞닥뜨릴 수 있다는 걱정을 많이 하고 있죠.

스태그플레이션을 막기 위한 묘책은 무엇일까요?

큰 골자로 보면 중앙은행이 할 수 있는 방법은 금리인상, 양적완화입니다.

1. 금리인상 : 금리를 인상하여 물가를 진정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유가의 경우 금리인상에 의한 가격진정 효과는 적을 수밖에 없습니다. 오히려 기업 및 가계 부채에 대한 이자 증가로 소비심리 위축, 기업투자 감소를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2. 양적완화 : 위축된 소비심리를 일으키고 저소득층의 생계에 도움을 주기 위해 정부에서 자금을 시중에 풀게 되는 경기부양책을 쓸 경우 오히려 물가 상승을 부추기는 효과를 낳을 수 있습니다. 또한 지속적으로 물가상승이 된다는 생각으로 "기대인플레이션" 기인 더 강한 물가상승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스태그플레이션을 벗어나기 위한 뾰족한 방법이 없어 가장 무서운 인플레이션 중 하나입니다.

 

애그플레이션 : Agflation=Agriculture+inflation의 합성어로 곡물 가격을 중심으로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

애그플레이션은 옥수수, 밀, 쌀, 대두 등 농산물을 중심으로 물가 상승이 확산되어 경제위기를 초래할 우려가 커지는 상황으로, 특히 농산물 자급률이 저조한 나라는 아주 큰 리스크를 맞이하게 됩니다.

안타깝게도 현재 러시아/우크라이나 정쟁으로 인해 엄청난 곡물 및 원자재(니켈, 우라늄 등)가 상승하고 있습니다.

세계 곡물 수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러시아/우크라이나가 전쟁으로 인해 밀, 옥수수 등의 수출을 차단되면서 관련 물가상승이 급등한 상황입니다.

 

 

현재 세계경제의 상황은?

현재 세계 경제 상황은 위에서 설명드린 슬로우플레이션+애그플레이션을 동시에 겪고 있습니다.

장기화되면 스태그플레이션으로 대대적인 리세션이 올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의견을 내고 있습니다.

이 모든 위기가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기인한 만큼 빠른 종전이 필요할 것이며, 이후 글로벌 경제를 살리기 위해 좋은 정책들이 어우러져 이 혼잡한 정세를 가다듬어야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엔데믹으로 인해 공급난이 해소되고 고용안정을 이루게 된다면 위기 속에서 빠른 탈출이 가능할 것으로 긍정적인 시각도 존재합니다.

internet news

투자는 어떻게?

세계 1위 경제대국인 미국은 금리를 25bp를 인상했고 올해는 지속적인 금리인상이 있을 예정입니다.

또한 상기 말씀드린 원유/원자재/농산물 가격 상승 리스크가 쉽게 안정화가 되지 않다고 판단되어 투자 가이드를 아래와 같이 권고하고 있습니다.

  • 포트폴리오 분산 철저! 
  • 주식(가치주, 성장주 분산)+금+원자재+현금(원화보다는 달러) 구성 후 향후 국면에 따라 비율 조정

     미국의 지속적인 금리인상으로 원화가치는 계속 떨어질 가능성이 많아 달러 소지 권장합니다.

     다음에 기회가 되면 달러 개념과 달러 투자에 대한 글을 올려보도록 할게요.

 

이상으로 슬로우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 애그플레이션에 대해 말씀드렸습니다. 

여러분의 "좋아요"와 댓글은 저에게 힘이 됩니다. "야옹아 놀자"였습니다. 감사합니다. 꾸벅!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