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증시 일일시황] 한경 글로벌마켓 2022년 3월 30일 소식 공유드립니다.
- 터키에서 우크라이나하고 협상 중입니다. 잘 될 가능성을 보이면서 증시 급등했습니다.
- 새로나온 우크라이나 정황
러시아 : 키이우 군 활동 축소.
미 : 소규모 움직임이다. 재배치일 뿐이다.
블링컨 : 말 아니라 행동에 주목한다. 진정성 확인 못한다
우크라 군 : 완전한 게릴라 전술로 전환할 수 있다.
메딘시크(러 협상대표) : 푸틴-젤렌스키 회담 가능. 우크라이나의 EU 반대하지 않는다.
돈바스 해방에 초점. 우크라 공군 이제 없다.
우크라이나가 한 달 이상 상당히 잘 버티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징병제로 18세 이상 군을 운영하기에 많은 인원으로 저항 가능하다.
- 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경제 이슈
러시아 재무 : 유로본드 채권자, 31일 기준 루블로 지급
일본 : 4/5부터 러시아에 대한 귀금속 수출 금지
폴란드 : 러시아 석탄 수입금지 제재
루블화 가치가 많이 급락 중. 수입 가격이 더 급등하는 거죠. 이중 고충을 갖고 있다.
완만한 전쟁 협상 기대로 증시 급등
공포지수 엄청 떨어졌습니다.
과거에는 공포지수가 떨어질 때는 에너지섹터가 많이 올랐습니다.
- 시장에 영향 준 요인
- 긍정적인 면
1. 우크라이나 러시아 협상 기대. 러시아의 키이우 군 활동 축소
2. "실제 침체까지 시간 있고 주식 외에 대안 없다." 심리
3. 3월 소비자 신뢰지수 107.2 vs 107.0
- 부정적인 면
1. 침체 전조현상 있다. 2~10년 물 금리 역전
2. 미 : 러시아의 협상 진정성 없다
3. 콘퍼런스보드 1년 기대인플레이션 7.9% (2월 7.1%)
실업률이 3.8까지 엄청 떨어졌다. 팬데믹 직전 3.5로 최저치였음.
- 미국의 3월 소비 심리
3월 소비자 신뢰지수 107.2 vs 107.0
전쟁과 인플레 우려에도 강한 고용에 소비 지지
단기적 역풍 지속되어 수개월간 소비심리 악화 가능성 있음
- 빨라진 미국 주택 가격 상승세
1월 기준 19.2% (작년 12월 상승률 18.8%). 전달 대비 1.1% 상승
20개 도시 주택 가격 지수는 19.1% vs 18.6%
공급 감소+금리 상승 전에 선제 구매 수요
기대인플레이션입니다. 설문조사를 했는데 1년 후 인플레이션 7.9% 예상
- 특징주 : 닐슨 (NLSN)
26.72달러, 20.36% 급등
피인수 다가온 닐슨.
사모펀드 컨소시엄. 주당 28$에 인수 협상 거의 마무리(부채 포함 160억 달러)
- 특징주 : 도어 대시 (DASH)
123.55달러. 8.01% 급등. 음식 배달업 체인
- 특징주 : 우버 주가도 급등 (UBER)
37.19달러. 6.96% 급등
뉴욕, 샌프란시스코 택시와 파트너십
- 특징주 : 로빈후드 (HOOD)
115.91달러. 24.2% 급등
증권 거래 앱 거래시간 4시간 확대
(오전 9시~오후 6시)>>(오전 7시~오후 8시)
궁극적으로 24시간 거래 가능케 할 것
2019년 이후 처음으로 장중 장단리 금리 역전.
- 국제 유가 :
WTI 104.24달러(-1.6%)
브렌트유 110.23달러(-2%)
더 떨어져야 합니다. 기대해보죠
오일 ETF 사신 분께는 죄송합니다 ^^
- 국제 유가에 영향 요인
우크라이나 러시아 협상 진전+중국 봉쇄로 수요 감소
사우디 에너지 장관 : OPEC의 한 국가가 우리 공격 지원(이란)
사우디/UAE : 러시아 OPEC+ 퇴출 안돼. 정치화해서는 안돼. 시장 안정 최우선. 이란과 적대적이지만 같이 하고 있다.
- 금값 : 1,918.1(-1.12%)
- 비트코인 : 47,552.5(+1.2%)
- 이더리움 : 3,416.8 (+2.47%)
- 2년 6개월 만에 역전된 채권 금리
미중 무역갈등이었던 2019년 9월 이후 처음
5-10년 물, 5-30년 물 역전 이후 2-10년 물까지
벤에 몬스(메들리 투자자문 전략가) : 역사적으로 곡선 역전 없이 침체 없었다.
시점 예상은 못해. 짧게는 6개월 최장 2년 걸릴 수도
- 채권 시장에 대한 월가 분석
Bofa(마크 카바나) : 연말 10년 물 금리 연 2.5%. 실질 금리는 0
BMo(벤저민 제프리) : 5,6월 금리 인상 예고. 모든 게 곡선 역전 지향
시티(제이스 윌리엄스) : 긴축 땐 국채 유동성 저하. 연기금이 곧 매입 개시
골드만삭스 : 2분기 수익률 곡선 역전. 3년간 이상태 유지
경기 침체 때 섹터 추천 : 상수도, 유틸리티, 수도, 가스, 에너지 등
- 패트릭 하커(필라델피아 Fed 총재)
올해 7번의 25bp 인상 예상. 다만 매우 열려있다.
중국 재확산이 공급망 충격. 50bp 인상 유도할 수도 있다.
인플레 너무 높다. 모두가 부양책의 물가 영향을 간과하였다.
수익률 곡선과 경치 침체는 확실히 연관이 있다
OECD 대비 미국의 소비자 물가지수 이렇게 높습니다.
- 빌 더들리 (전 뉴욕 Fed 총재)
지난 1년간 Fed 너무 느린 대응. 경착륙 피할 수 없다.
경기 침체와 실업 양산만이 물가 잡을 수 있다.
미국의 성장률 뚝 떨어지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연방은행이 가지고 있는 대차대조표입니다. 증시 전망 어둡습니다.
- 마이크론 직전 분기 실적
82.05달러, +2.74%
EPS 2.14달러 vs 1.98달러
매출 78억 달러 vs 75.3달러
메고트라 CEO "D램과 낸드 시장 주도"
- 엑스 펑(중국 전기차 업체)
28.2달러, +3.94%
순익 -0.22달러 vs -0.33달러
매출 12.4억 달러
차량 총 마진 10.9%. 전분기엔 13.6%
3분기에 신형 SUV(G9) 출시. 블록버스터 될 것이다
이상으로 [미국증시 일일시황] 한경 글로벌마켓 2022년 3월 30일 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미국증시 일일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증시 일일시황] 한경 글로벌 마켓 2022년 3월 29일 (0) | 2022.03.29 |
---|---|
[미국증시 일일시황] 한경 글로벌마켓 2022년3월26일 (0) | 2022.03.26 |